1.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둘 다 Spring에서 Controller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전통적인 Spring MVC의 Controller인 @Controller와 RESTful 웹 서비스의 Controller인 @RestController의 주요한 차이점은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yunge_100/post/681912dc-5334-4bdc-8ecd-d6b0de116173/image.png
1.1 @Controller
[Controller로 View를 반환할 경우]
Spring MVC의 Controller인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yunge_100/post/2b2ba59f-7d93-4d29-8236-43d2336480d2/image.png
- Client에서 보낸 요청은 DispatcherServlet을 거쳐 HandlerMapping을 통해 Controller를 찾고 요청을 수행하게 된다.
- Controller는 받은 요청을 처리하고 난 뒤 ViewName을 반환한다.
- DispatcherServlet은 ViewResolver를 통해 ViewName에 해당하는 View를 찾아 사용자에게 반환한다.
[Controller로 Data를 반환할 경우]
!https://velog.velcdn.com/images/dyunge_100/post/befd3d4a-ce5e-448d-a48c-8f56e10c4db8/image.png
하지만 View뿐만 아니라 Data(또는 객체)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해 ResponseEntity(HttpStatus + HttpHeaders + HttpBody 형태의 데이터, 한 마디로 Http 응답 메시지)의 Body(Response Body)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때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된다. 이를 통해 Controller도 View 뿐만이 아닌 JSON 형태의 데이터도 반환할 수 있다.
참고)
@Controller를 통해 객체를 반환할 때, 일반적인 경우엔 ResponseEntity로 감싸서 반환한다.
그리고 객체를 반환할 때는 View를 반환할 때와 마찬가지로 ViewResolver 대신 HttpMessageConverter가 동작한다. HttpMessageConverter에는 여러 Converter가 등록되어 있으며, 반환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Converter도 그에 맞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단순 문자열인 경우에는 StringHttpMessageConverter가 사용되고, JSON 객체의 경우에는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가 사용된다. Spring은 클라이언트의 HTTP Accept Header와 서버의 Controller 반환 타입 정보를 조합해 적합한 HttpMessageConverter를 선택하여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