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를 분류하기 위한 틀
심볼 - 개념을 가리키는 간략한 이름이나 명칭
내연 - 개념의 완전한 정의를 나타내며 내연의 의미를 이용해 객체가 개념에 속하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연 - 개념에 속하는 모든 객체의 집합
외연의 관점에서 어떤 객체에 어떤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 객체 집합에 해당 객체를 포함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객체와 마주했을 때 객체에게 적용할 개념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해당 객체를 개념이 적용된 객체 집합의 일원으로 맞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개념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들을 개념에 따라 분류하는 것과 동일하다.
분류란 특정한 객체를 특정한 개념의 객체 집합에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는 작업을 의미한다.
어떤 개념으로 분류할지가 객체지향의 품질을 결정한다.
- 분류는 추상화를 위한 도구다.
추상화의 첫 번째 차원은 구체적인 사물 간의 공통적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화하는 것이다.
추상화의 두 번째 차원은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해 단순화하는 것이다.
개념은 일반화를 적용한 결과다.
개념은 객체들의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한 추상화 도구다.
타입
- 타입은 개념이다
타입은 개념과 동일하다.
타입이란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다양한 사물이나 객체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관념을 의미한다.
어던 객체에 타입을 적용할 수 있을 때 그 객체를 타입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타입의 인스턴스는 타입을 구성하는 외연인 객체 집합의 일원이 된다.
- 데이터 타입
‘타입이 없다’라는 말은 메모리 안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단 하나의 타입만이 존재한다는 것.
컴퓨터 안에 살아가는 데이터를 목적에 따라 분류하기 시작하면서 프언에는 타입 시스템이 생겼다.
타입 시스템은 메모리 안에 저장된 0과 1에 대해 수행 가능한 작업과 불가능한 작업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가 잘못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타입 시스템의 목적은 데이터가 잘못 사용되지 않도록 제약사항을 부과하는 것이다.
타입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ex) 연산자의 종류가 아니라 어떤 데이터에 어떤 연산자를 적용할 수 있느냐가 그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한다.
타입에 속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어떻게 표현하는지는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
데이터 타입은 메모리 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메모리 집합에 관한 메타데이터다.데이터에 대한 분류는 암시적으로 어떤 종류의 연산이 해당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 객체와 타입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우리는 객체를 일종의 데이터처럼 사용한다. 객체를 타입에 따라 분류하고 그 타입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결국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선언하는 것과 같다.
** 객체는 행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상태.
객체는 데이터는 아니다. 객체에서 중요한 것은 객체의 행동이다.
상태는 행동의 결과로 초래된 부수효과를 쉽게 표현하기 위해 도입한 추상적인 개념일 뿐이다.
객체를 창조할 때 중요한것은 객체가 이웃하는 객체와 협력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객체가 협력을 위해 어떤 책임을 지녀야 하는지를 결정한느 것이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이다.
**
- 어떤 객체가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이다.
- 객체의 내부적인 표현은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
- 행동이 우선이다.
객체의 개부 표현 방식이 다르더라도 어떤 객체들이 동일하게 행동한다면 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에 속한다.
동일한 책임을 수행하는 일련의 객체는 동일한 타입에 속한다.
같은 타입에 속한 객체는 행동만 동일하다면 서로 다른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행동이란 동일한 책임을 의미
동이한 책임이란 동일한 메시지 수신을 의미
다형성이란 동일한 요청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데
동일한 메시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객체들은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형적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또는 타입 계층)에 속하게 된다.p.93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21(클래스,객체,상속,다형성,메소드오버로딩,메소드오버라이딩) (0) | 2023.02.23 |
---|---|
Day20(생성자) (0) | 2023.02.21 |
Day18 (0) | 2023.02.20 |
Day17(클래스 멤버와 인스턴스 멤버) (0) | 2023.02.18 |
Day16(클래스,객체,인스턴스,객체 지향 )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