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퀘스트 작성을 하면서 계속 까먹어서 코드가 어떤걸 뜻하는지 검색해서 다시 확인해봤다.
"npx create-react-app react-demo"은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npx"는 Node.js 패키지 실행 도구로,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create-react-app"은 Facebook에서 제공하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 생성 도구입니다. "react-demo"는 새로 생성되는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며, 이 부분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react-demo"라는 이름의 새로운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개발 서버를 실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설정이 자동으로 포함됩니다. 이후에는 해당 디렉토리에서 리액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설정이나 기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axios"는 JavaScript에서 HTTP 요청을 보내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axios는 Promise 기반으로 동작하며, Node.js와 브라우저 환경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axios from 'axios';"는 Node.js나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axio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라이브러리를 불러온(import) 코드입니다. 이를 통해 axios 객체를 사용하여 HTTP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거나,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axios는 주로 RESTful API와의 통신이나 다양한 HTTP 요청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서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때 axios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는 axios를 사용하여 HTTP GET 요청을 보내고, 응답(response)을 받아서 그 데이터(response.data)를 사용하여 React의 상태(state)를 업데이트하는 코드입니다. 아래는 코드의 각 부분의 해석입니다:
- axios.get(url): axios를 사용하여 url에 GET 요청을 보냅니다. url은 요청을 보낼 대상의 URL 주소를 나타냅니다. 이 요청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요청입니다.
- .then(response => {...}): GET 요청에 대한 응답이 성공적으로 받아진 경우, response 객체를 처리하는 콜백 함수를 정의합니다. response 객체는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데이터와 그에 대한 메타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setPosts(response.data):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데이터(response.data)를 React의 상태 관리 함수(setPosts)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상태(state)를 업데이트합니다. 이를 통해 받아온 데이터를 컴포넌트의 상태에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는 주로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컴포넌트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일반적인 패턴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